본문 바로가기

DLIT 유용 생활정보

각종 상석(上席)과 회식 시 명당자리

오늘은 날이 날(즐거운 회식 ^^)이니만큼 오늘의 주제에 맞는 가볍고 재미있는 내용이 있어, 

 

여러분께 알려드리고자 합니다. 

 

모든 자리에서 에티켓과 매너를 잘 지키는 댄디한 DL인이 되어 봅시다~~ ^^

 

 

 

각종 상석(上席)

 

윗 사람을 모실 때 알아야 할 상석(上席)

식당 테이블에만 있는 게 아니라

온갖 공간에 다 존재하는데

자동차, 열차, 비행기 등 교통수단 내에서의

상석은 다음에 다루기로 하고

여기서는 식당 외 몇 몇 실내 공간에 대해

알아보기로 하자.

 

식사를 곁들인 각종 연회장

(Banquet, Reception, 결혼식, 정년퇴임기념식 등)

 

 

(01)

 

 

이런 장소에서의 주빈석(Head table)

 

연단 및 무대에서 제일 가까운 열의 중앙 테이블이고

 

이들은 대개 출입구에서 제일 먼 쪽이 된다.

 

이 테이블에서 제일 상석(Place of honor)

 

무대가 잘 보이는, 무대와 마주 보는 좌석이다.

 

 

회의실

 

1) 출입구 반대측이 상석이다

(02)

 

그리고 상석에서 멀어질수록 말석이다.

 

2) 스크린이 있을 시 화면을 마주보는 쪽이 상석이다

(03)

 

응접실

 

1) 소파(장의자)가 개별의자보다 서열이 높다

(04)

 

위와 같은 구조의 응접실의 경우

 

손님(내방객)을 장의자에 모신다.

 

 

 

 

3) 의자가 적게 놓인 곳이 서열이 높다

(05)

 

 

 

 

 

 

회식 시 자리잡기의 중요성

 

 

내가 주빈(主賓)이거나 Host가 아닌 자리 즉

 

동창회 같은 모임에 오랫만에 참석했을 때

 

어떤 자리에 앉느냐에 따라

 

그날 모임이 얼마나 즐거울지 아니면

 

얼마나 고역일지가 결정되는데

 

문제는 이런 모임에선 좌석의 선택 권한이 없으므로

 

오로지 그 날의 재수에 맡길 수 밖에 없다.

 

그런데 직장에서의 회식은

 

윗사람을 모셔야 하는 자리라

 

그 날 어느 좌석에 앉느냐에 따라

 

더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도 있는데

 

한가지 좋은 점은

 

앉는 자리를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다.

 

그런데 이에 대해

 

년 전 중앙일보(2008 5 20)

 

아주 재미난 기획기사를 실은 적이 있어

 

소개하니 젊은 직장인들은 잘 써먹으시길^^

 

 

 

1) 아부지대

(06)

 

 

 

2) 사망지대

(07)

 

 

 

3) 소외지대

(08)

 

 

 

 

4) 사각(死角)지대

(09)

 

 

 

 

출처 http://blog.daum.net/hansono/17436424